임차인의 무리한 요구에 대처하는 법

SAVBSC

·

2022. 1. 5. 22:13

반응형
 

부동산, 매도자, 임차인 등

다양한 분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상대방이

도무지 이해가 안가는 말을 하거나

상식적이지 않은 요구를 할 때

어떻게 해야할지

당황하셨던 경험이 있으실텐데요,

제가 임대를 놓으면서

겪었던 사례를 말씀드리고

어떻게 대처했는지 나눠보고자 합니다.

Case 1.

계약금은 낼 수 없지만,

계약은 하고싶은

임차인

제가 투자한 집이 전세가 잘 나가지 않아

잔금날짜가 3주정도 남았던 때의 일입니다.

빨리 입주해야 하는 임차인을 구했는데

오늘 계약서 쓰고 싶어하니

와달라는 부동산의 전화에

그날 퇴근하고 바로 지방으로 내려갔습니다.

가는 길에 문자로 특약까지 다 확정하고

드디어 전세가 빠지는구나~하고

기쁜 마음으로 신나서 부동산에 갔는데

임차인이 계약금은 못 주고,

계약서만 쓰겠다고 하는겁니다.

밤 10시가 넘은 시간, 곧 있으면 열차도 끊기는데

정말 당황했스러웠습니다.^^;

다른 집을 구하려고 하시는거냐 물었더니

자기는 빨리 이사도 해야되고

저희 집이 마음에 들어서 하고 싶으시다고 합니다.

혹시

임차인이 왜 계약금을 안 주려고 하는지

이해가 가시나요?

Case 2.

집 보여주는데 협조한다고 했으나,

연락 두절에 실내 흡연하는 임차인

계약갱신 청구권이 없던 시절,

곧 만기인 월세입자 분이 살고 계시는 집을

매수한 적이 있습니다.

우리가 배운대로

임차인 분을 찾아뵙고 인사를 드리고

기프티콘도 보내며

집 좀 잘 보여달라고 부탁을 드리자

흔쾌히 알았다고 하셨는데...

행동은 너무 달랐습니다.

부동산 연락은 아예 받질 않으시고

실수로(?) 받으실 경우에는

바쁘다고 바로 끊어버리셨습니다.

겨우겨우 매도인 협조를 받아

부동산에서 전세 구하시는분과 집을 보러 갔을 땐

집안에서 담배를 너무 피워서

연기가 가득하고 냄새도 심해서

집은 들어가지도 못하고 나왔습니다.

제 집은

담배 때문에 상태도 너무 안좋고 + 연락도 안되어

오히려 사장님이 보여주면 욕먹는 집이 되었습니다.

혹시

협조 해 주시겠다고 말씀하시고

이런 행동을 하시는게 이해가 가시나요?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다

사정은 이랬습니다.

Case1의 임차인은

전세자금대출이 나오지 않으면

계약금을 날리게 될 것을 걱정하셨습니다.

직접 전화로도 확인하셨고,

부동산에 대출담당자도 직접 방문해서

설명을 해드렸지만

그 임차인 분께는

직접 서류 접수하셔서

은행 창구 직원의 입에서 나오는 확답을 받아야

믿을 수 있다고 생각하셨고

자신의 계약금을 날리지 않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했습니다.

Case2의 임차인은

사실은 계약 연장을 해서 더 살고 싶으나

집주인이 집을 팔고싶으니 나가달라고 부탁해서

알겠다고 한 상황인데

(계약갱신청구권이 없던 시절)

투자자가 샀다고 해서

계약 연장하여 살 수 있으리라 기대했지만

부동산을 통해 들려오는 건

전세가 아니면 어렵다는 대답.

내가 집이 없어서 쫓겨나는 것 같은 상황

내가 돈이 없어서 쫓겨나는 것 같은 기분에

자신의 마음을 회복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했습니다.

내가 해야할 단 한가지,

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사람이 상식 밖의 행동과 말을 할 때는

다 그럴만한 나름의 이유가 분명히 있습니다.

상대방이 무리한 말이나 요구를 할 때는

그 배경에 있는 생각과 이유를

주의깊게 파악하고

내 목적에 맞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생각은 어쩌면 말로 표현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처음 보는 사람에게

본인의 속사정을 낱낱이 말하는 것은

사실 쉽지 않은 일입니다.

상대방이 사용하는 단어, 미묘한 제스쳐, 행동을

면밀하게 파악해야 알 수 있습니다.

상대방을 납득시키거나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은

일반적인 대화에서 하는 것이고

투자자로서의 행동의 기준은

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제 목적이 무엇이고

어떻게 달성할 수 있을까, 고민했는데요

Case 1

목적: 임대계약서를 쓰고 계약금을 받아 임차인을 세팅하고 싶다

행동: 다음날 오전 10시까지 계약금이 입금 되어야 유효한 임대계약서를 작성했습니다.

임차인은 대출이 나오는지 확인한 뒤에

계약서를 쓸 수 있어 좋아하셨고,

저는 만약 이 분과 계약을 못할 경우,

시간 지체 없이 다른 임차인을 구할 수 있어 안심이 되었습니다.

Case 2

목적: 새로운 임차인을 빨리 받아 잔금을 하고 싶다

행동: 현 임차인 분께 월세 1개월치를 깎아드리고 보증금을 먼저 내어 드려

불편함 없이 원하시는 집을 빨리 구하실 수 있게 부동산에 부탁드리고

저희 집은 공실로 만들었습니다.

임차인은 본인이 이사가는 상황을 배려받으셨다고 느끼시고

갈 곳을 빠르게 구하셨고

저는 공실이 된 집을 수리하여

새로운 임차인과 계약했습니다.

이렇게 두 가지 경우 모두

거래를 잘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진상이 아닌, 보통 사람과의 거래

어쩌면

진상 임차인인 아닐까?

굳이 대응해 줄 필요가 있을까?

나중에 또 이상하게 나오면?

싶으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거래가 마무리 된 이후

두 임차인 분 모두 제게

내가 잘 몰라서 겁이 나서 그랬다.

안 그러면 큰일난다고 인터넷에서 봤다.

내 입장만 고집부려서 미안하다.

힘들었을텐데 이해해줘서 고맙다.

라고 하셨습니다.

두 분 모두 상식적이고 예의바른 분들이시고

결코 이상한 분들이 아니었습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요.

부동산 거래는

보통의 우리들에게는 특수한 경우입니다.

모든게 다 조심스럽고 걱정되고

내 의지대로 되지 않아 하나하나가 힘듭니다.

공부를 해서 이제는 내게

익숙한 과정, 용어일지 몰라도

내가 처음에 그랬듯이

내가 거래하는 상대방에게는 결코 익숙한 것은 아닙니다.

나의 제안이

합리적 일지라도

상대방이

받아들이지 못할 때

상대를 설득하는 것이 아닌

상대방의 관점에서

유효한 방법을 찾아내 제시하는 것이

현명한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성공의 비결이란 게 있다면,

다른 사람의 관점을 가지고

당신의 관점 뿐 아니라

그 사람의 관점에서

사물을 보는 능력이다.

데일카네기 인간관계론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