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스터샷 기간은 3개월입니다! 방역패스 유효기간은? (+예약방법)
terrynews
·2022. 1. 29. 20:26



부스터샷 기간
부스터샷 기간이 3개월로 단축되었습니다!
부스터샷 기간이 3개월로 정해진 이유는 여러 연구 결과 2차 접종 후 70일 이후부터,
짧으면 2·3개월 쯤부터 백신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백신 효과가 감소 추세를 보이는 시점에서 다시 끌어올려주는 추가 접종을 하자는 취지인데요!
오미크론으로 인해 방역 상황이 악화될 것에 대응하기 위해 부스터샷 기간이 3개월로 정해진 것입니다.
부스터샷 기간은 2차 접종 후 3개월만에 효과가 급격히 떨어진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면역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백신의 면역 효과가 정점에 올랐다 서서히 떨어지는 시점에
추가 접종을 해서 효과를 끌어올린 다는 것입니다!
백신패스 유효기간은 2차 접종 후 14일 경과일로부터 6개월(180일)까지 입니다!
방역패스 유효기간이 6개월로 설정되며 부스터샷 기간 또한 연기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요.
부스터샷 기간을 앞당겨 빨리 맞는다고 이상반응이 더 많이 생긴다는 보고나 연구 결과가 없고,
오미크론이나 델타 변이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가능한 한 빨리 예방접종을 하는 것을 권고한다고 합니다!

연합뉴스
방역패스 위반 시 과태료
방역패스 유효기간이 지났음에도 식당, 카페를 이용하는 방역 지침을 어긴다면, 당사자는 횟수별로 10만 원의 과태료를,
해당 시설 운영자는 1차 위반 시 150만 원, 2차 위반 시 3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니,
반드시 방역패스 유효기간을 확인하여 3차 부스터샷 기간 내에 접종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방역패스 해제시설
정부는 코로나 방역패스 대상 총 17종의 시설 중 위험도가 낮은 시설, 마스크 상시착용으로 침방울 배출 가능성이 낮은
6종 시설에 대해 방역패스를 해제한다는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백신 미접종자도 이용이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방역패스 해제시설로 정해진 시설 외에 11종의 다중이용시설은 방역패스를 유지합니다.
1월 18일부터 적용됐고, 시행 중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