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소 코로나 검사비용은 얼마일까요? (+무증상자 신속항원검사 비용 인하)
알 수 없는 사용자
·2022. 8. 2. 17:46


- 보건소 코로나 검사비용은 얼마?
- 병원·이비인후과 신속항원검사 비용 인하!

보건소 코로나 검사비용은 얼마?

코로나 확진자와 접촉했거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보건소에서 코로나 검사를 받으실텐데요, 확진자가 다시 늘어남에 따라 많은 분들이 보건소 코로나 검사비용은 얼마인지 알아보고 계신 것 같습니다.
보건소 코로나 검사비용은 얼마인지 확인해보았습니다.

우선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PCR 검사는 검사대상이 정해져있습니다. 보건소 코로나 검사는 고위험군에 해당되는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고위험군은 만 65세 이상의 노인, 코로나 밀접접촉자로 기관에서 코로나 PCR 검사를 받으라고 통보를 받은 사람 등이 해당됩니다.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는 검사대상에 해당되는 분들의 보건소 코로나 검사비용은 무료입니다.
8월 2일부터 무증상자도 코로나 검사비용 인하!
보건소 코로나 검사비용은 무료이고, 이비인후과 등 병원에서 받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비용은 병원에 따라 3만~5만원을 지불해야 했습니다.
정부가 코로나 검사비용 부담을 낮추기로 했다는 소식 공유 드립니다.

보건소 코로나 검사비용처럼 무료는 아니지만, 증상이 없어도 확진자가 접촉 했다면 코로나 검사비용 5천원을 내고 동네 병원에서도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비용이 비싸 검사를 받지 않는 사람이 늘어 지역 사회 전파 우려가 커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한 대응인데요, 지금까지 무증상자의 경우 동네 병원에서 검사를 받으면 대체로 3만~5만원을 지불해야 했습니다.
8월 2일부터는 코로나 검사비용을 인하하여 무증상자도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때 의사 판단에 따라 역학적 역관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건강보험을 적용 받아 진료비를 5천원만 지불하면 됩니다.
단, 해외여행이나 회사 제출용 음성 확인서가 필요해 검사를 받는 경우에는 건강보험 급여 대상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원래대로 3만~5만원의 검사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보건소 코로나 검사비용은 무료, 무증상자의 코로나 검사비용 인하 소식 정리하여 공유 드렸습니다.
보건소 코로나 검사비용 등 궁금하셨던 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