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 납부기간, 방법, 카드 할인 혜택, 상품권 납부방법 등 총정리

terrynews

·

2022. 7. 12. 19:48

반응형

어느래 7월 중순이 되어가네요.

매년 7월과 9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인데요.

이슈되는 세금들로 절세고민도

많이 하시는 것 같은데

재산세 납부기간, 방법, 카드할인혜택, 상품권납부방법 등

총정리 해드리겠습니다.

이 글 하나만 보면 재산세

절세하며 납부하실 수 있어요!


재산세란?

과세기준일(6월1일) 현재

사실상 재산을 소유한 납세자가 소유한

재산의 경제적 교환가치에 담세력을 두어

과세하는 조세

재산세는 과세기준일이 중요한 포인트라서

매매, 매도 거래시 과세기준일을

기억해두시면 세금 절감에 도움이 돼요!

#재산세 #재산세납부기간 #재산세카드 #재산세카드납부방법

#카드혜택 #납부기간 #재산세납부일 #재산세 납부혜택 #재산세납부이벤트

재산세 납부기간

재산세는 과세기준일인 매년 6월 1일

현재 토지와 주택(부속토지 포함)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납부기간은 소유한 재산별로

상이한데요.

#재산세 #재산세납부기간 #재산세카드 #재산세카드납부방법

#카드혜택 #납부기간 #재산세납부일 #재산세 납부혜택 #재산세납부이벤트

주택의 경우 납기일은,

제1기분 : 매년 7월 16일 ~ 7월 31일

제2기분 : 매년 9월 16일 ~ 9월 30일

주택의 경우 재산세액 20만원 초과 경우

납세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1기분은 7월, 2기분은 9월로 나누어

각각 1/2씩 부과됩니다.

또한 세액이 20만 원 미만인 경우

7월에 한꺼번에 내면 됩니다.

관련 위택스 홈페이지도

아래 링크를 두었으니참고하세요!

#재산세 #재산세납부기간 #재산세카드 #재산세카드납부방법

#카드혜택 #납부기간 #재산세납부일 #재산세 납부혜택 #재산세납부이벤트

재산세 납부 방법

재산세 납부방법은 다양합니다.

가장 편리한 방법으로 선택하심 돼요!

▶ 시중 은행방문 납부

▶ 위택스 사이트(www.wetax.go.kr)

▶ 인터넷지로 사이트(www.giro.or.kr)

▶ 전용가상계좌 및 지방세입 계좌 납부

▶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간편결제 앱

▶ ARS 전화(080-644-8572) 납부

▶ CU, GS25 등 편의점에서 신용카드 등 납부

재산세 규모가 커서

일시납이 부담스러운 분들도 계시죠?

그런 분들은 분납과 물납을

고려해보시면 좋습니다!

#재산세 #재산세납부기간 #재산세카드 #재산세카드납부방법

#카드혜택 #납부기간 #재산세납부일 #재산세 납부혜택 #재산세납부이벤트

▶ 분납 : 세액이 250만원 초과한다면

납입기한이 지난 날부터 2개월이내 분납 가능

▶ 물납 : 세액이 1천만원 초과한다면

지자체내에 있는 부동산으로 납부 가능

분납과 물납을 하시는 분들은

해당 지자체에 미리 알아보고

신청하셔야 하니 참고하세요!

#재산세 #재산세납부기간 #재산세카드 #재산세카드납부방법

#카드혜택 #납부기간 #재산세납부일 #재산세 납부혜택 #재산세납부이벤트

재산세 카드 납부

재산세는 지방세이기 때문에

카드납부는 수수료가 없는데요.

국세의 경우 카드결제금액의 일정금액의

별도 수수료를 더 내지만

(신용카드 0.8%, 체크카드 0.5%)

지방세는 수수료가 없기에

재산세 납부 꿀팁은 카드납부인데요!

#재산세 #재산세납부기간 #재산세카드 #재산세카드납부방법

#카드혜택 #납부기간 #재산세납부일 #재산세 납부혜택 #재산세납부이벤트

<재산세 카드 납부 주요 혜택>

1) 일정 기간 무이자 할부 이용

2) 일부 카드사는 현금 환급(캐시백) or

포인트 적립 등 혜택을 제공 or

일정 금액 이상 결제 시 선물 증정

카드사별 혜택을 보면

주로 무이자나 캐시백이벤트가 많아요.

롯데카드를 예를 들면,

롯데카드로 재산세 50만 원 납부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2잔(약 9000원) 절약

결제액의 1.8%에 해당하는 혜택

주요카드사별 혜택을 정리해드렸으니

소지하신 카드사 중 가장 혜택이 좋은 곳에서

재산세 납부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재산세 #재산세납부기간 #재산세카드 #재산세카드납부방법

#카드혜택 #납부기간 #재산세납부일 #재산세 납부혜택 #재산세납부이벤트

재산세 납부 그 외 방법(쇼핑몰 포인트, 상품권 활용)

재산세 카드납부 방법 외 첫번째는

'상풍권깡' 방법도 있는데요.

<일명 상품권깡 방법>

1) 온오프라인 상품권 거래소에서

5~7% 할인된 신세계 백화점 상품권 구매

2) SSG홈페이지에서 구매한 상품권을

SSG머니로 충전

3) 충전한 SSG머니로 재산세 결재

서울시 등 일부 지자체는 재산세를

SSG머니(신세계)나 엘포인트(롯데) 등과

같은 온라인쇼핑몰 포인트로도 받고 있습니다.

이 중 SSG머니는

신세계 백화점상품권으로 충전 가능한데요.

온·오프라인 상품권 거래소에서

5~7% 할인된 가격에 백화점상품권을 사서

SSG머니로 충전하면

그만큼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니까

번거롭더라도 요 방법 추천합니다!

다만, 유의하실 부분은

지자체에서 이런 포인트를 쓸 수 있는 한도는

연간 120만 원입니다.

따라서 고지된 재산세가 120만 원을 넘는다면

포인트 결제와 카드 결제를 결합해야 해요.

#재산세 #재산세납부기간 #재산세카드 #재산세카드납부방법

#카드혜택 #납부기간 #재산세납부일 #재산세 납부혜택 #재산세납부이벤트

두번째 방법은 상품권으로 납부 입니다.

백화점상품권을 당근마켓 등 중고 거래로

10%정도 에누리해 샀다면

절세액은 더 커질 수 있어요.

중고거래 후 앞서 말씀드린

상품권깡까지 더한다면!!

더 절세할 수 있겠죠?


재산세 납부 절세방법은

조금만 수고로우면 가능합니다.

최적의 혜택 조합은 총 결제액에 따라

각기 다르므로 전략적으로 접근해야겠죠?

본인의 세금금액을 보시고

최적의 혜택조합을 해보시길 추천드려요!

#재산세 #재산세납부기간 #재산세카드 #재산세카드납부방법

#카드혜택 #납부기간 #재산세납부일 #재산세 납부혜택 #재산세납부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