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후보지 21곳 확정 (feat. 공공재개발) 탈락한 3곳 어디?
terrynews
·2021. 12. 29. 11:15


'오세훈표 재개발'이라 불리는
'신속통합기획'의 후보지가 공개됐습니다.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민간재개발 이란 뭔가요?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민간재개발은
사업성이 비교적 양호한 지역 등을 대상으로
공공이 절차 단축을 지원하는 것으로,
지난 9~10월 첫 후보지를 공모한 뒤
최종 후보지를 발표한건데요.
신속통합기획은
각종 인·허가 절차 등을 간소화해
재개발 기간이 두 배 이상 단축될 수 있는
재개발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신속통합기획 공모 참여 구역

서초구를 제외한
24개구에서 총 102개소 구역이
공모에 참여했습니다.
용산구, 성북구, 은평구에서는
각 11곳이나 신청해 높은
참여율을 보이고 있으나
나머지 12개구는 1~3개 지역만 신청해
참여율이 저조한데요,

최종 후보지 21곳은 어디?
최종 선정된 ‘민간재개발 후보지' 21곳
종로
|
창신·숭인
|
마포
|
공덕
|
용산
|
청파2구역
|
양천
|
신월7동 1구역
|
성동
|
마장
|
강서
|
방화2구역
|
동대문
|
청량리
|
구로
|
가리봉2구역
|
중랑
|
면목
|
금천
|
시흥
|
성북
|
하월곡
|
영등포
|
당산동6가
|
강북
|
수유
|
동작
|
상도14구역
|
도봉
|
쌍문
|
관악
|
신림7구역
|
노원
|
상계5
|
송파
|
마천5구역
|
은평
|
불광
|
강동
|
천호A1-2구역
|
서대문
|
홍은
|
결국 당초 방침대로
각 구별로 1곳씩 선정했네요...
구별 노후도가 다를텐데,
이부분은 아쉬운것 같습니다.
결국 공모에 참여했던 서울시 24개구 중
중구/광진구/강남구만
선정되지 않았습니다!!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추진일정
후보지로 선정된 구역은
향후 서울시가 계획을 지원하는
신속통합기획을 적용,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될 경우
2022년 초 정비계획 수립에 착수해
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구역지정이 진행이 되고
정비 사업이 완료되면
서울시에 약 2만5000가구가 공급될 전망입니다.

공공재개발 사업과 다른점
정부는 앞서 수도권 29곳과
3만4000호의 공공재개발 후보지를
지정한 바 있는데요.
공공재개발 사업은
사업성 문제 등으로
사업이 정체된 지역을 중심으로
공공이 참여해 용적률과 사업속도 제고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 중인 사업이라고 합니다.
정부는 이달 중 공공재개발
2차 후보지 공모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국토교통부, 서울시 주관)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 공공재개발 연계
과거 홍 부총리는
"신속통합기획 후보지에
선정되지 않은 지역은
주민이 원할 경우 공공재개발 공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다"면서
(이게 목적인가??)
"후보지 발표시 시장불안요인
차단방안도 함께 마련하는 등
공공재개발과 신속통합기획 간
협업·연계를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이건 아무래도 공공재개발 참여율로는
한계가 있어서 민간재개발까지
같이 추진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어쨋든 사업이 계획대로
잘 추진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