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헝다그룹 파산?! 중국인민은행 헝다에 단기 유동성 공급
terrynews
·2021. 9. 23. 19:24


중국 헝다그룹 파산?! 중국인민은행 헝다에 단기 유동성 공급
중국 헝다그룹의 파산 우려로 인해 추석 연휴 동안 마음 졸인 투자자들이 많다고 합니다!
그러나 증권업계에서는 중국 헝다그룹으로 인해 중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할 우려는 적다며
헝다그룹이 파산한다고 해도 중국인민은행을 비롯한 금융시스템 대비
규모 및 대손충당금 비율을 감안하면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고 하네요
중국 헝다그룹의 파산 위험은 왜 생겼고
중국인민은행 헝다 그룹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고 있는지 알아볼까요?!
금융권 취업을 준비하시거나 주식에 관심 많으시다면 국제 금융 정세도 잘 알아두셔야 할 것 같습니다!
중국 헝다그룹 파산?! 중국인민은행 헝다에 단기 유동성 공급
헝다그룹은 매출 기준 중국 2위 부동산 개발업체이며 중국 최대 역외 채무를 보유하고 있는 그룹입니다.
중국 헝다그룹 파산에 대한 위험은 7월 이후부터 꾸준히 제기됐는데요!
이번에 헝다그룹의 8353만달러 이자 상환이 도래하면서
헝다그룹 파산 위기에 놓였다는 찌라시가 돌기 시작했습니다.
다행히 헝다그룹 관계자가 밝힌 헝다그룹 파산 이야기는
중국 역내 이자를 상환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헝다그룹 파산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번에 중국인민은행이 헝다 그룹에 단기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헝다그룹 파산에 대한 가능성을 잠재웠죠!
중국 헝다그룹 파산?! 중국인민은행 헝다에 단기 유동성 공급
이번 헝다그룹 파산 및 중국인민은행 헝다 그룹 사태가 심상치 않은 이유는 따로 있다고 합니다.
바로 중국 기업들의 레버리지(부채 비율) 때문인데요!
중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올해 1분기 기준 159%로
과거 심각한 버블 붕괴를 겪었던 90년대 일본의 147.6%와
IMF 외환위기를 겪었던 한국과 태국의 113%를 훨씬 능가하는 수치입니다.
중국 헝다그룹의 부채 비율(부채/순자산)은 올해 6월 기준 459%이며
중국 1위 차이나 반케(Vanke)의 부채비율은 137%이나
중국 A주에 상장된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평균 부채 비율은 387%라고 하니 높은 수준이네요 ㅠㅠ
중국 헝다그룹 파산?! 중국인민은행 헝다에 단기 유동성 공급
중국 헝다그룹 파산 우려는 묘하게 2009년의 리먼사태와 닮았다고 해요! 당시에도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리먼이 파산하면서 중국발 금융위기를 불러왔는데요! 그러나 이번 헝다그룹 이슈로
중국발 금융위기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라고 하니 다행이네요!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IMF 외환위기 및 2009년 글로벌 금융 위기와는 달리
중국 헝다그룹 파산 사태는 2020년 8월 제정된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레버리지 규제 영향"이라며
"리먼사태는 미국 부동산 경기가 하강 싸이클로 접어들면서 금융기관들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확대된 과정에서 발생한 반면 아직 중국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중국 헝다그룹 파산?! 중국인민은행 헝다에 단기 유동성 공급
중국 헝다그룹 사태는 중국인민은행이 헝다에 단기 유동성을 공급하는 등의 노력으로
무질서한 기업들의 연쇄 도산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이후 부양정책 기대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4분기 초반까지 불안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하네요!
다만 추석 연휴 동안 중국 헝다그룹 파산에 대한 걱정 때문인지
원·달러환율이 1,175원에서 1,184원까지 상승하기도 했는데요!
중국 기업 디폴트 우려가 반영돼 원·달러 환율이 상승했는데
이는 곧 국내 증시 하락으로 이어질 개연성 높다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잇따르고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