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령액 계산기 간단하게 사용하는 방법 확인해보세요!
terrynews
·2021. 7. 3. 04:11

안녕하세요~!
오늘은 직장인 분들을 위해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을 알려드릴건데요!!
정말 간단하니 연봉 실수령액이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해서 계산해보세요 ㅎㅎ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 뿐 아니라 실수령액표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게 표도 가져왔으니 참고하세요~~!!


우선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부터 볼게요!
네이버에 실수령액 계산기라고 검색을 하면
이렇게 연봉과 비과세액, 부양가족수, 20세 이하 자녀수를
입력할 수 있는 칸이 나오는데요~!
정보를 모두 입력하세요!!
비과세액은 식비 같은 세금을 따로 안 떼고 주는 돈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계산하기를 누르면 끝!

실수령액 계산기 입력 후 계산하기를 누르면
이렇게 4대보험, 세금이 나간 금액과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
연봉 3000만원을 예시로 들었고요,
비과세액 120만원, 부양가족수 1명, 자녀수 0명으로 계산을 했습니다.
4대보험 중 산재보험은 전액 회사가 부담하기때문에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만 확인하면 돼요!
그리고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가 있고
연봉 실수령액과 월 환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수령액 계산기를 확인했는데요~!
이번엔 실수령액표를 확인해볼게요.
이건 더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아요!
따로 계산할 필요 없이 연봉, 4대보험, 세금,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