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휴수당 조건, 이것만 충족하면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계산법은?)
알 수 없는 사용자
·2022. 7. 27. 19:59


주휴수당 조건, 이것만 충족하면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계산법은?)

이번 시간에는 주휴수당 조건과 계산법에 대해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도 소개해드릴 예정이니 잘 읽어봐주시길 바랍니다~
주휴수당 조건
주휴수당이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하루씩 유급휴일을 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제 55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일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노동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하며, 이를 주휴일이라고 합니다.
주휴수당은 이 주휴일에 하루치 임금을 별도 산정하여 지급해야 하는 수당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1일분의 임금을 추가로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조건 3가지
<주휴수당 조건>
- 근무일 결근 X
-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4주간의 평균 근로시간 기준)
- 주휴수당이 발생한 주 이후에도 계속 근로할 것
주휴일은 상시근로자 또는 단기간 근로자에 관계없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모든 근로자가 주휴수당 조건에 포함됩니다!
월급 근로자의 경우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돼 있지만,
시간제 근로자 등의 경우 '1주일 15시간 이상' 근무 여부에 따라 주휴수당 조건 여부가 결정됩니다.
주휴수당은 비정규직, 시간제 근로자, 아르바이트, 인턴, 수습, 학생 등
채용 형태와 연령에 상관없이 위 조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조건/ 계산법

주휴수당 조건에 충족되면 주휴수당은 '1일 소정근로시간 X 시급'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계약에 따라 하루 8시간씩 주 5일 근무를 하였다면
사용자는 근로자가 하루를 쉬더라도 하루분 급여를 별도 산정하여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
주휴수당은 임금에 해당하므로 사용자가 이를 지급하지 않을 경우
임금 체불로 노동부 진정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쉽게 계산하는 방법!

주휴수당을 직접 계산하기 어려우시다면 네이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급여계산기를 이용해보시길
바랍니다! 네이버 검색창에 주휴수당 계산기를 치시면 바로 나옵니다~
그럼, 지금까지 주휴수당 조건과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들 도움이 많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