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사도 잘 모르는 재산세 계산 방법

terrynews

·

2022. 7. 16. 02:55

반응형

공동주택을 소유하신분들은 재산세가 부과되었는데 확인해 보셨나요?

월급쟁이부자들 유튜브 채널에서

'너나위멘토님께서는 세금이 잘못나온 걸

정정청구 하신 경험이 있다고 하시는데

나도 한번 계산 직접해볼까'에서

제 궁금증은 시작되었습니다.

직접계산하기 어려우니

부동산 계산기로 계산해봤는데

계산값이랑 다르시다구요!?

저 역시, 계산값과 달라서

한~~참을 공부하고 고민한 끝에

차이가 나는 이유들을 확인하였고

이를 공유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먼저 글 시작에 앞서

먼저 쓰여진 겨울눈꽃(박나리세무사)님의 좋은 글이 있어

이 글 먼저 읽고 오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재산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에서 확인하시고

저는 제가 찾은 계산에 오차가 나는 이유들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필독★

겨울눈꽃님의 재산세 계산해보기

부동산 계산기(재산세) : http://부동산계산기.com/재산세

재산세를 보고있으면

어찌 계산되는건지 답답해 죽겠던 분들께 이 글을 바칩니다. ^^


부동산 계산기 재산세와 차이나는 이유

#1. 세부담상한, 기준연도, 도시지역 Check 할 것 !

부동산 계산기의 재산세 탭을 누르면 하기와 같은 창이 뜹니다.

여기서 이 상태로 계산을 하게되면 틀린 계산값이 나오게 될 수 있습니다.

1세대 1주택자 인경우에만 ✔

세부담상한 꼭 ✔

기준연도 등 기준값 조정 (1주택자 아니면 선택 안해도 됨) ✔

도시지역 꼭 ✔

조정대상지역인 경우 ✔

공동명의인 경우 ✔

하이라이트를 해둔 경우는 무조건 선택하셔야 합니다 !

이렇게 하고 하기 빈칸들을 전부 채워줍니다!

이렇게 채우시고 재산세 계산을 누르면

하기와 같이 뜨게됩니다!

혹시 궁금하실 수 있으니

예시를 하나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대로 계산한 예시

이렇게 전년도 재산세와 도시지역분을 넣어야

세부담상한이 제대로 계산이 되어

정확한 세금이 나올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재산세가 20만원이 넘으면 두번에 걸쳐 나오기때문에

두 번의 재산세를 합산한 재산세 및 도시지역분을 넣으셔야 합니다.)

세부담상한이란?

공시가격의 급등으로 인한 재산세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전년보다 일정 한도 이상 더 부과하지 않도록 하는 제도 입니다.

만약) 작년에 재산세가 얼마가 나왔는지 지억이 안난다면?

제가 이렇게 저렇게 위택스에도 문의해봤지만

결국은 지자체(시구청)에 문의하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ㅠㅠ

위택스에서 따로 확인이 잘 안되더라구요...

작년 지로가 있다면 확인 가능하지만

지로를 버리셨다면

지자체에 문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이번에 주택 취득 후 첫 재산세도 세부담상한이 적용될까?

정답은 YES 입니다.

이 경우에 내가 작년세 재산세를 내지 않았지만

직전소유주가 납부한 재산세 기준으로 세부담상한이 적용됩니다.

이 경우, 작년 재산세 결과가 없기 때문에

정확히 확인하고 싶다면 지자체(시구청)에 문의가 필요합니다. ^^

(생각보다 번거롭죠....)


부동산 계산기 재산세와 차이나는 이유

#2. 지역자원시설세를 계산해 볼 것

재산세 항목에

부동산 계산기로 계산할 수 없는 한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지역자원시설세 !!

위의 부동산 계산기에는 없는 항목이죠?

이 항목까지 포함을 해야 지로(위택스)에 나온 재산세와 비슷한 금액이 나오게 됩니다.

지역자원시설세는 건축물의 가액(시가표준액)의 60%가 과세표준이 됩니다.

헷갈리시면 안되는 게 공시지가가 아닌 건축물의 가액의 60% 입니다.

공동주택의 공시지가는 토지+건축물의 시가표준액이라면

지역자원 시설세의 과세표준은 건축물의 시가표준액과 관련이 있는거죠...

 

지역자원시설세 = 건축물의 가액(시가표준액)의 60% X 지역자원시설세 세율

지역자원시설세 계산방법 참조

건축물의 가액(시가표준액)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이 부분은 저희가 위택스나 다른 경로로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궁금해서 지자체 담당자를 통해 문의를 해

하기의 답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건축물의 가액(시가표준액)은 면적당 건물 기준 가액으로 정해지는데,

기준 가액은 여러 가지 지수로 결정이 됩니다.

그 건물이 위치한 공시지가에 따른 지수,

용도 등 여러 가지 지수들을 적용을 해서

산출을 하는 거라서 계산 로직은 알려드릴 수 없지만

위택스에서 과세 표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공시지가가 높은 수도권의 구축 아파트보다

공시지가가 낮은 지방의 신축 아파트의 건축물 가액 과세 표준이 높은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더라구요

아무래도 신축아파트가 건축물의 감가상각이 적다보니까 그럴 것이라는 담당자의 의견이 있었습니다.

지역자원시설세 시가표준액은? 위택스

(납부하기 - 지방세에서 확인)

여기서 지역자원시설세의 과세표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새로 알게 된 사실들로

재산세를 직접 계산해보니

다행히 크게 잘못된 점은 없었습니다. ^-^

작년에는 시간이 없어

일일히 계산해보지 못하고 그냥 납부했었는데요.

이번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임장을 못가고 있는 상황이라

며칠을 지자체와 위택스에 문의하며

궁금한 점을 해결해가서 좋았습니다!

물론 저희는 시간으로 돈을 사는 행위는 하면 안되지만

한번쯤 계산해보니 궁금점이 많이 풀렸습니다.

앞으로는 일일히 다 계산하지 않고

과하게 나왔다 싶은 물건들만 계산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여담으로 제가 제목을 세무사도 잘 모르는 재산게 계산 방법이라고 썼는데요 ㅎㅎ

(세무사분들 기분나쁘시지 마시길!..^ㅠ^)

사실 공동주택 재산세의 경우

양도세처럼 개인이 신고를 하는 세금이 아니고

지자체에서 계산이 되어 부과되는 세금이기에

세무사들이 내용을 잘 알지 못하는 게

어찌보면 당연한 일입니다..

ㅎㅎ

 

또, 세금 관련 이해가 안될 때 인터넷을 검색하는 것 보다

지자체나 위택스로 전화 한통이

더 정확하고 빠르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요....

저처럼 재산세에 대해

계산했던 것과 달라 답답하셨던 분들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르는 게 생기면?

지자체나 위택스에 전화로 문의해보세요 !!

복잡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더운날 건강 유의하세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