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부모급여! 지원대상, 지원금액, 지급시기는? (자녀 양육 지원금 미리미리 챙기자.)

terrynews

·

2022. 6. 28. 19:38

반응형

혹시 부모급여에대해 들어보셨나요?

요즘같은 저출산시대에 아이를 갖지않는 현상이

흔하게 볼 수있는 상황인데요,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이유가

여러개가 존재하겠지만, 금전적인 문제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인데요.

(또한, 자녀를 둔 월부인들도 많기 때문에, 이런 복지혜택을

잘 챙겨서, 보다 투자금확보에 진심을 다해보자고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 부모급여가 있다고해요.

부모급여에 대해 그럼 알아볼까요?

부모급여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공약중에 하나였는데요.

부모급여의 의미와 지원하는 상세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모급여, 지원대상, 금액 알아보기)

​1. 부모급여가 뭔데?

임신 및 출산 지원, 영유아에서 아동까지의 양육, 보육 및 돌봄, 건강관리

지원확대등을 기반으로 양육부담 완화와 더불어 아동의 건강한 성장 지원저출산 시대의

위기를 극복해보고자 하는 취지의 복지정책이라 보면 될 것같아요.

부모님들의 부담 요즘 작지않죠? 이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책인데요.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Ex) 11개월 이하의 아이를 가진 부모에게 월 100만원씩 지원.

만 1세의 아이를 가지고 계신 분들에게는 50만원씩 지원.

다만, 현재는 문제가 있다고해요 현재는 시작단계이기 때문에

미흡한 부분들이 있기도 한것 같습니다.

2. 부모급여 지급 내용

초기 정책이다 보니, 예산확보가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 우선적으로

축소지원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것 같아요.

초기에는 시행착오를 겪는만큼, 해당 부분에 대해서 어쩔수 없나봅니다.

-2023년 기준 0~11개월 아동의 부모에게 월 70만원의 부모급여를 지급

2024년 기준 0~11개월 아동의 부모에게 월 100만원의 부모급여를 지급

-2023년 기준 만 1세 아동의 부모에게 월 35만원의 부모급여를 지급

2024년 기준 만 1세의 아동의 부모에게 월 50만원의 부모급여를 지급

여기서 주의할 점은 생후 11개월까지 지원이 아닌 만 1세까지 지원이라고

하니, 이부분은 주의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3. 이해가 더필요하신 가요?

예를 들어) 2022년에 아이가 태어났다고하면, 태어난날을 기준으로 만 1세 전의

지원금액과 만1 세까지의 지원금액 모두 가능하다고하니, 잘 챙겨보아야 겠습니다.

※해당 부분은 현행기준이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된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시면

좋을것 같아요.

http://m.site.naver.com/0YCaA

우리 월부인들은 워킹맘 투자자, 아빠 투자자도 많기 때문에, 이러한 복지정책을

잘 챙겨서, 투자금 확보에 보다 힘을 내보자구요!!

또한, 현재, 저출산시대가 대한민국에서 큰 이슈인 만큼 이러한 복지정책으로

보다 나은 방향으로 흘러나가길 기원해봅니다.